안녕하세요. 새싹 주니어 기획자 Daisy입니다.
요 근래 제품 샘플링, 촬영 진행.. 외부 미팅 등 정말 정신없이 하루를 보내고 있어요. 이 과정에서 좀처럼 제 뇌가 마음처럼 따라주지 않아 무력감을 느끼곤 하는데요. 하지만 이 또한 내가 헤쳐나가야 하는 순간일 뿐, 정신을 부여잡고 일하고 있습니다. 덕분에 글 소재가 쌓여 좋기도 하고요. 😋
오늘은 엔터테인먼트 회사와 유튜브 영상 광고 관련 컨설팅 미팅에 참석했던 내용을 정리하려고 합니다.
병풍이 되어 곁다리로 열심히 주워들은 내용, 다음과 같이 정리해 봅니다.
1. 구글 애즈로 유튜브에서 영상 광고하는 법
2. 유튜브 채널을 스케일업 하기 위한 유튜브 알고리즘 이해
1. 구글 애즈로 유튜브에서 영상 광고하는 법 (단계별로 정리했습니다 .어렵지 않아요.)
| 가입 및 캠페인 시작하기
먼저 구글애즈 가입을 해주세요. (https://ads.google.com/)
가입 후 구글 애즈 대시보드에서 캠페인 시작하기를 누르면 다음과 같이 캠페인 목적을 선택하라고 나옵니다.
저는 WAMSTAGE 유튜브 채널에 게재된 김 페리 님 영상 조회수를 높여보려 합니다. 따라서 제품 및 브랜드 구매 고려도 선택한 후 캠페인 유형을 동영상으로 선택했습니다.
| 캠페인 설정
1. 캠페인 이름을 기입합니다.
2. 유형이 동영상이기 때문에 입찰 전략이 CPV만 가능합니다. (조회당 비용이 지출됩니다.)
3. 캠페인 총 예산을 설정합니다. 구글 크레딧 사용한도 내 집행을 해야 해서 5만 원을 넣어놨어요.
실제로는 목표하는 조회수에 맞게 예산 세팅을 해야합니다.
4. 캠페인 일정을 세팅합니다. 머신러닝이 돌아가기 위해서는 최소 3일 이상을 집행해야 해요.
5. 광고가 게재될 네트워크 체크란입니다. 구글 애드이기 때문에 유튜브에서 게재 가능하고요.
구글 파트너를 맺은 웹사이트와 앱이 포함된 GDN(Google Display Network)에서 광고가 라이브 됩니다.
6. 타게팅 국가 설정입니다. 참고로 한국 위치 설정 광고 비용 높은 편 입편입니다.
반대로 한국인인데 외국에 사는 사람 타깃은 저렴하다고 하고요.
7. 타깃의 언어 설정입니다. 한국인이 타깃이라면 모든 국가 및 지역을 설정하고 언어를 한국어로 함이 더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겠어요.
8. 인구통계로 세그먼트도 가능합니다. 기존에 진행하신 광고가 있다면 인사이트를 뽑아서 성별 연령에 맞게 타게팅할 수도 있어요.
일단 저는 리포트가 없어 모두 선택해봅니다.
9. 타깃의 속한 그룹을 선택합니다. 아무래도 엔터테인먼트나 음악을 좋아하시는 분이여야겠죠?
다음은 게재될 위치를 설정을 위해 키워드, 주제 그리고 게재 위치를 설정합니다.
10. 여기서 키워드란 검색 키워드를 말합니다. 어떻게 검색했을 때 보여줄지 키워드를 넣어줍니다.
11. 다음은 어떤 주제의 웹사이트 페이지(GDN)에 게재될지를 설정합니다.
12. 게재 위치는 광고를 특정 영상이나 또는 채널에 걸 수 있어요. 예를 들면 페리 님이 올리비아 로드리고 곡을 커버했기 때문에
저는 해당 영상을 본 타깃이 페리 님 영상을 조회할 거라고 판단해서 넣어놨습니다. 그 외에도 WAMSTAGE와 유사한 음악 관련 채널 등등을 넣을 수도 있겠죠?
13. 최대 CPV 입찰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추후 변경도 가능하니 운영되는 걸 보면서 조정하시면 되겠습니다.
14. 게재할 광고 영상의 링크를 넣어줍니다. (유튜브에 게재된 영상만 가능합니다.)
15. 광고 형식 설정입니다. 인스트림은 영상 시청 전 3초, 5초 후 스킵할 수 있는 광고입니다. 3초 이상 보면 CPV 카운트되고요.
단기간 내에 조회 수 또는 인지도 상승을 주안으로 두지 않는 이상, 집행하지 않습니다. (특히나 스타트업에서는 적합하지 않다고 봅니다 )
디스커버리는 유튜브 시청할 때 왼쪽 상단에 리스트 되는 광고입니다.
16. 썸네일, 17. 제목, 18. 설명 등 넣을 수 있습니다.
| 운영 중인 캠페인
자 이제 캠페인 만들기 끝, 운영 중인 광고가 대시보드에 보입니다.
유튜브 광고 참 쉽죠? 실제로 해보는 것이 빠르게 배우는 법이라 생각합니다. 😋
저처럼 구글 애즈가 처음이신 분들! 구글 애즈에서 처음 광고 집행하는 계정에게는 100,000의 크레딧을 제공하고 있으니 직접 해보시는 걸 권해요.
2. 유튜브 채널을 스케일업 하기 위한 유튜브 알고리즘 이해
“알고리즘이 나를 여기로 이끌었습니다.”, "알고리즘이 선택을 받았다"라는 말 들어보셨을 겁니다.
소위 말해서 구독자수, 조회수가 그저 그랬던 채널이 유튜브 알고리즘에 선택을 받으면서 대박이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추천 알고리즘의 선택을 받으면 광고를 집행하지 않아도 광고가 되는 단계에 이르는 거죠.
그렇다면 어떤 채널의 동영상이 유튜브의 선택을 받는 걸까요? 아쉽게도 유튜브에서는 추천 알고리즘에 대해 외부에 공개하지 않습니다.
다만 추천 알고리즘의 메커니즘에 짧게 정리하면서, 초기 유튜브 채널을 스케일 업하기 위한 전략에 대해 말해보려 합니다.
| 유튜브 알고리즘
먼저 유튜브 입장에서는 시청자를 최대한 오랫동안 플랫폼에 체류를 시키는 게 중요합니다. 따라서 개인화 맞춤 영상을 끊임 없이 추천해주죠. 시청자의 선호도 분석을 위해 선호하는 영상 주제, 시청 시간 등 데이터를 수집하기도 하고요. 이를 토대로 유사한 집단끼리 그룹화하는 등 개인에게 딱 맞는 영상 리스트를 만들어 줍니다. 이 과정에서 머신러닝, 인공지능이 작동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채널 크리에이터들은 유튜브의 선택받기 위해 좋은 콘텐츠를 만들어야 합니다. 하지만 인공지능은 사람이 아닙니다. 규칙을 통해 움직입니다. 영상과 채널의 데이터(조회수, 구독자, 좋아요 등등)를 근거로 해 지수화 합니다. (앞서 프레젠에서 인플로운서를 인덱싱하는 아티클을 보셨다면 아실 거예요.) 이를 토대로 적합한 시청자에게 보여주는 거죠. 하지만 이 과정에서 꼭 핏 하게 맞는 영상만 추천하지 않습니다. 너랑 비슷한 사람들이 좋아해서 한번 띄워봤어~ 은근쓸쩍 끼워 넣습니다. 여기서 시청자가 클릭하고 시청시간이 일정 나온다면, 이거 좋은 콘텐츠네, 이런 유형의 시청자가 좋아하는군. 유사 타깃에게 더 돌려! 이게 바로 알고리즘에서 선택입니다. 반대로 클릭하자마자 바로 이탈한다면, 이거 아니네... 좋은 콘텐츠가 아닌가 보다 하는 거죠.
| 초기 유튜브 채널을 스케일 업하기 위한 전략
하지만 구독자도 없어, 조회수도 안 나와 초기 유튜브 채널은 어떡하냐고요?
(마치 경력 없는 신입은 어디서 일을 배우나요와 같네요.)
그렇기 때문에 광고를 하는 거죠. 앞서 유튜브 광고하는 법에서 목표하는 조회수에 맞게 예산 세팅을 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그 이유는 채널 내 영상의 조회수가 일정 수준으로 균일하게 나오게 하기 위함인데요. 한마디로 트래픽에 주력하는 거죠. 영상 당 정량 목표치를 정해두고 광고를 태워합니다. 머신러닝 입장에서는 이 채널 영상들 트래픽이 괜찮은데? 정량적 수치를 만들어 주어 주는 거죠. 물론 당연히 콘텐츠도 중요합니다.
엔터테인먼트 사와 미팅 내용을 토대로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OO엔터테인먼트의 아이돌님이 새로 음원을 발매했고 해당 뮤직비디오를 광고하려 합니다.
그렇다면, 2가지 방식으로 광고 세팅을 다르게 접근할 수 있어요.
1. 조회수 트래픽용
2. Core 팬층용
조회수 7 : Core 팬 3 비율로 예산 세팅을 합니다.
1번은 말 그대로 조회수를 늘리기 위한 용입니다. 캠페인 설정을 월드와이드로 설정합니다. 케이팝, 케이팝 뮤직, 케이팝 등으로 키워드 설정합니다. 또한 관련성 있는 채널과 영상으로 묶이도록 게재 위치를 정합니다.
2번은 진짜 팬을 위한 광고인데요. 기존에 집행한 광고가 있어서 인사이트를 볼 수 있었습니다.
국가별로 어느 국가에서 인기 있는지 확인하고요. (국가별로 선호하는 얼굴이 다르잖아요?)
아울러 조회율과 시청시간도 같이 봐야 합니다.(갑자기시청시간이 1분 이상 나오는 지역이 있다면 고려대상입니다.)
시청시간 같은 경우는 퍼센티지로 확인 가능합니다. 그리고 실제로 확인해보니 유입경로가 아이돌님 인스타그램이더군요. 프로페셔널 계정이셔서 인스타그램 인사이트를 확인해봤습니다. 일본 팬분들이 많다고 하셨는데 데이터로는 일본에 팬이 없다고 보였습니다. 추정컨데매체가 있어서 본다고 봐야겠고요. 반대로 일본에 광고를 해야한다고 보입니다. 사실상 코어 팬을 위해서는 인스타그램 활성화가 더 중요하겠네요.
마무리
구글 애즈에서 유튜브 광고하기부터 알고리즘까지 정리한 아티클이었습니다.
광고 세팅은 기능적인 부분이라 한번 집행해보고 나니 큰 어려움을 없어요. 다만 데이터 기반의 정교한 타기팅이 참 어려운 것 같습니다.
광고 효율을 위해서 산업에 대한 이해, 비즈니스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고 느낍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다음에 또 봐요 😉
'오늘보다 더 나은 내일, 성장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획 | 팔리는 상세페이지, 나도 쓰고 싶다. (0) | 2021.11.28 |
---|---|
기획 | 논리적인 사고 능력 키우기 (2) | 2021.11.08 |
마케팅 플랫폼 | 크리테오(Criteo) (0) | 2021.10.17 |
사진 피드 맞추기 (1) | 2021.10.17 |
디자인할때 사이트(이미지) 사이즈 정하기 (2) | 2021.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