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터는 정말 뇌가 섹시한 직업인것 같다.
정말 기본 내용이라고 배웠는데 머리가 터질 것 같다.
마케터들은 우오ㅏ 이런 일을 한다구? 이런 멋쟁이들 나도 멋져지고 싶다.
오늘 정리 해볼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기본용어 정리(과금 방식 위주)
2. 채널별 CPM/CPC 비교
| 기본용어 정리
일단 광고를 하려면 기본 개념과 용어를 이해해보자.
광고는 쉽게 말하면 구좌를 사는 것이다.
그럼 가격은 어떻게 측정될까? 광고가 노출된 만큼 가격을 지불하게 된다.
(예를 들면 잡지광고를 집행한다면 잡지의 판매수가 가격이 됨)
위 개념에 이어, 과금방식 및 기본 용어를 보다 더 쉽게 정리하기 위해서,
"총 광고비를 5,000,000원을 썼고 100,000번 노출되었고, 3,232번 클릭했다고 해보자"
CPM(Cost per mile 천단위) = 노출 1,000회당 지불하는 비용
-> 광고비/노출*1,000 = 50,000원
CPC(Cost per click) = 클릭 당 비용
-> 광고비/클릭 = 1547.02원
CTR(Click througth rate) = 광고를 클릭한 사람의 비율
-> 클릭/노출 = 3.23%
>> 해당 영역은 콘텐츠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클릭 또는 누르고 싶게 만들어야 하니까.
RTB(Real time bidding) = 광고 키워드/노출, 노출 기반 실시간 경쟁비딩이라고도 한다.
CPA(Cost per action) = 특정행동을 하였을 경우 광고비가 지급되는 방식
>> 광고솔루션중 CPA 비딩은 잘 없다고한다. 왜냐 CTR은 광고 솔루션 영역이 아니기 때문임.
이 경우 CPI(Click per lnstallation, 설치당 비용을 과금하는 형태) 비용으로 책정
(이때 CPI로 가격 설정하면 대부분 CPM 비용이 높다 한다.)
따라서 적당한 콘텐츠의 경우 CPM광고로 관리한다.
여기서 적당한이란, CTR이 평균이상이고 광고 소진율이 보통이상인 경우을 말함
반대로 콘텐츠 병신?..같다. 예컨데 대출 광고 같은거, 너무 마이너 틱한거 CPI 광고로 관리한다.
(CTR이 평균이하이고 광고 소진율이 낮은 경우)
| 채널별 CPM/CPC 비교
이제 과금 방식을 알아봤으니 채널별로 CPM/CPC를 보자
금액을 기준으로 채널별로 등급을 매끼면 일반적으로 이와 같다한다.
<채널별 등급>
일반적으로 네이버 vs 구글+페이스북 이렇게 비교된다.
(이 둘의 금액이 3 ~10배 차이가 난다고 한다.)
그럼 정말 네이버가 양아치인지 한번 확인해볼까?
네이버 롤링보드와 페이스북 광고관리자로 집행한 프레젠 광고를 비교하겠다.
CPM 2,200원이라니 우와 진짜 싸다! 라고 생각하겠지만 뜯어보자
일반적으로 전환율이 2% 이상이면 높다. 전환율을 2% 가정해 CPM과 CPC 비교해서 보자
CPC 금액을 봐라 약 2배 차이가 난다. CPM이 저렴하다고 좋은게 아니다
'오늘보다 더 나은 내일, 성장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플로운서 분석/통계 (0) | 2021.10.17 |
---|---|
페이스북 픽셀 쉽게 이해해보자 (0) | 2021.10.17 |
페이스북/인스타그램 퍼포먼스 마케팅 분석 (0) | 2021.10.17 |
페이스북/인스타그램 광고 실습 (0) | 2021.10.17 |
개구리가 세상 밖으로 나온 날 (0) | 2021.10.12 |